전체글

글또 8기 회고2월 첫 포스팅을 시작으로 6개월 가량 활동하였던 글또 8기 마지막 글이자 회고글입니다.저의 글또 8기 모든 포스팅은 아래 더보기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더보기글또 8기 제출 포스팅1주차 : 글또 8기 첫 시작 !2주차 : 아파치 카프카 (Apache Kafka)3주차 : 모놀리식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비교4주차 : WebServer / WAS / Web Container5주차 : UML 다이어그램 정의 & 종류6주차 : WebStorage 개념과 사용법7주차 : Refine Framework8주차 : Postgresql Row Level Security (RLS)9주차 : Pass10주차 : MQTT11주차 : Pass12주차 : 글또 8기 회고 다짐에 따른 회고2023년 상..
· 개발/C#
MQTT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는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며 제한된 네트워크 또는 저대역폭 네트워크에서 장치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설계된 ISO 표준 발행-구독(Publish-Subscribe) 기반의 경량 메시징 프로토콜이다. ※ MQTT는 사물 인터넷 (IoT, 홈 자동화, 원격 측정, 기계 간 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도메인에서 사용된다. 주요 용어 Topic (주제) : 계층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발행 및 구독에 사용 → 관심사 분리 Broker (중개인) : Publisher와 Subscriber 사이에 메시지를 관리하여 전송해 주는 중앙 관리자 Publisher (발생자) : 특정 Topic을 통해 Broker에 메시지를 전송..
PostgreSQL 확장 가능성 및 표준 준수를 강조하고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 구성 및 관리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ORDBMS) Row Level Security Row Level Security (RLS)는 오픈 소스 PostgreSQL DB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특정 데이터 행이 하나 이상의 역할에 대해 표시되고 작동하는 방식을 제어하는 정책을 정의하는 것으로 SELECT, INSERT, UPDATE 및 DELETE와 같은 특정 명령을 포함하여 테이블의 행 수준에서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 ※ PostgreSQL 11 Version 이상에서 사용 가능 Row Level Security Policy ALTER TAB..
Refine Framework 란? 웹 애플리케이션의 신속한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로 CRUD 운영에 필요한 반복 작업을 제거하고 인증, 액세스 제어, 라우팅, 네트워킹, 상태 관리 등 중요한 부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무제한의 맞춤화 옵션을 제공하는 React 기반 프레임워크 (플랫폼) 사용 케이스 주요 기능 단일 CLI 명령으로 구성없이 설치 15개 이상의 백엔드 서비스 용 커넥터 → REST API, GraphQL, NestJs CRUD, Airtable, Strapi, Supabase, Hasura, Firebase 등 Next.js 또는 Remix로 SSR 지원 API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CRUD UI 자동 생성 (MuiInferencer) React Query로 완벽한 상태 관..
· 개발/Web
웹스토리지 (Web Storage)Dom Storage (Document Object Model Storage)라고도 하는 웹 저장소로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JavaScript API로 HTML5의 새로운 기능으로 서버 측 요청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편리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Web Storage를 사용하는 이유향상된 성능 : 사용자 브라우저에 로컬 저장 → 서버 측 요청 수 감소사용자 경험 : 사용자 기본 설정, 설정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 별 데이터 저장덜 제한적인 용량 : 4KB의 데이터 저장 제한 쿠키 → HTML5 공식 권장 5MB네트워크 성능 : 굳이 서버로 전송할 필요가 없는 ..
좋은 설계는 어떤 문제를 놓고 여러 차례 힘들게 반복(iteration)을 거치면서 진화한다. UML 이란? 통합 모델링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로 소프트웨어 개념을 다이어그램으로 그리기 위해 사용하는 시각적인 표기법 왜 UML을 사용해야 하는가? 다른 사람들과 의사 소통하기 UML을 통해 설계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어 의사 소통하게 되며, 의미가 명확하고 코드에 대한 구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매우 분명하게 보인다. 로드맵 전체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참조 도표로 사용 교육용 도구로도 유용 백엔드(back-end) 문서 유지보수 & 인수인계를 위한 설계 문서 → 프로젝트 막바지에 팀의 마지막 작업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Web Server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웹 콘텐츠에 액세스 하고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웹 페이지나 파일을 요청하면 웹 서버는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콘텐츠를 사용자의 브라우저로 다시 전송하여 응답합니다. 웹 서버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일 수 있으며 HTTP 및  HTTPS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HTML 문서, CSS, javascript, 이미지, 파일을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도 웹 서버라고 함 Web Server 기능정적인 콘텐츠 제공 : 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 제공동적 콘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 : 클라이언트 요청과 WAS에서 처리한 ..
모놀리식 아키텍처 v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SA) 모놀리식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SA) 생산성 높음 낮음 복잡성 높음 낮음 확장성 낮음 높음 배포 간결함 빠르고 지속적인 배포 가능 (단독 배포) 모놀리식 아키텍처 (Monolithic Architecture) 전통의 아키텍처를 지칭하며 단일 코드 베이스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의 모든 구성 요소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통합되어 있는 형태 장점 생산성 : 하나의 코드 베이스 기반 → 개발 속도가 빠르다. 간편한 디버깅 : 단일 코드 베이스로 인해 추가 구성없이 디버깅 가능하다. 간편한 배포 : 단일 프로젝트 배포로 인해 간편하다. 단점 복잡성 : 서비스가 커질수록 개발이 더욱 복잡해진다. 유지 보수의 어려움 : 단일 프로젝트로 많은 양..
· 개발/Java
카프카란 ?Apache Kafka는 원래 링크드인이 개발한 것으로 2011년 초에 오픈 소스화 된 오늘날 비동기 방식의 실시간 데이터 플랫폼 또는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이라 불리는 메시지 브로커 프로젝트입니다. 다양한 카프카의 활용발행-구독 (Publish-Subscribe) 모델데이터 통합메시지 버스실시간 데이터 처리 / 분석 등기본 구성카프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주키퍼 (ZooKeeper) : 카프카의 메타데이터 관리 및 브로커의 정상상태 점검 담당카프카 클러스터 (Kafka cluster) : 여러 대의 브로커를 구성한 클러스터브로커 (broker) : 카프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서버 또는 노드프로듀서 (producer) : 카프카로 메시지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컨슈머 (consumer)..
Circle Jung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